롯데바이오로직스 분석|글로벌 CMO 신흥 강자, 성장 가능성은?

롯데그룹이 야심 차게 진출한 바이오 산업의 선봉장, 바로 롯데바이오로직스입니다.
글로벌 제약사의 의약품 위탁생산(CMO) 수요가 폭증하는 가운데, 롯데는 미국 BMS 공장을 인수하며 본격적으로 바이오 산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이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외에도 ‘제3의 CMO 강자’로서 존재감을 높이고 있는 롯데바이오로직스!
이 글에서는 회사 개요부터 인수 배경, 사업 전략, 투자 포인트까지 상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롯데바이오로직스 기업 개요


롯데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5월 설립된 롯데그룹 계열 바이오 CMO 전문 기업입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미국 뉴욕 소재 BMS(Bristol Myers Squibb)의 항체의약품 생산 공장을 인수하며 본격적인 바이오 생산 기반을 확보하였습니다.

항목 내용
회사명 롯데바이오로직스
설립 연도 2022년
산업 분야 CMO(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본사 서울, 한국
주요 거점 미국 뉴욕 (BMS 공장)


미국 BMS 공장 인수, 왜 중요한가?


2022년 말,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미국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BMS)의 뉴욕 공장을 약 2,700억 원에 인수했습니다.
이 공장은 GMP 인증을 받은 상업용 항체의약품 생산시설로, 인수 즉시 바이오 CMO 사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 ✅ 유럽·미국 인증 보유 시설
  • ✅ 연간 생산 CAPA 약 35,000리터
  • ✅ 글로벌 제약사와의 수주 기반 마련

특히 초기 기업이 CMO 사업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수년 간의 설비 투자와 인증 과정이 필요한데,
롯데는 인수 전략을 통해 시간과 비용을 대폭 단축하며 경쟁력을 빠르게 확보한 것이 강점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차별점은?


많은 투자자들이 묻습니다. “삼성바이오와 뭐가 다르지?”
삼성은 초대형 설비와 CAPA 위주라면, 롯데는 미국 현지 거점 확보와 빠른 시장 진입 전략이 핵심입니다.

비교 항목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
설립연도 2011년 2022년
CAPA 78만 리터+ 3.5만 리터
강점 대형 생산, 다수 고객 미국 공장 기반, 빠른 전개
지분구조 삼성물산, 삼성전자 롯데지주 100%


사업 전략 및 비전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단순 CMO를 넘어, 향후에는 CDMO(개발+생산) 영역까지 확장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 허브 구축을 위해 인천 송도에도 생산기지를 추가 확보할 예정입니다.

  • 📈 CDMO 사업 진출로 수익 구조 다변화
  • 🌎 미국 → 한국 → 유럽 확장 전략
  • 🔬 ADC 등 신약 대응 기술 투자 진행 중

중장기적으로 삼성바이오, 셀트리온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글로벌 3대 바이오 CMO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Q&A


Q1.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어떤 회사인가요?

롯데그룹이 설립한 바이오의약품 CMO 전문 기업으로, 미국에 생산 거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Q2.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비교해 경쟁력이 있나요?

시장 초기 진입으로 CAPA는 작지만, 미국 공장 인수로 빠른 시장 진입에 성공했습니다.


Q3.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상장되어 있나요?

아직 비상장 상태이며, 향후 IPO(기업공개)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Q4. CDMO란 무엇인가요?

CMO가 생산만 맡는다면, CDMO는 개발부터 생산까지 전 공정을 위탁 수행하는 고부가가치 모델입니다.


Q5. 롯데바이오로직스 투자 포인트는?

미국 공장 기반의 신속한 진입, 롯데그룹의 자본력, CDMO 확장성 등이 핵심입니다.



결론: 신흥 CMO 강자, 롯데바이오로직스를 주목하라


바이오 산업은 꾸준히 성장하는 섹터이며, CMO는 그 중심에 있는 산업입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아직 초기 단계지만, 공격적인 투자, 빠른 시장 진입, 글로벌 거점 확보를 통해 미래의 대형 CMO 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롯데라는 브랜드 신뢰와 자본력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투자가치를 검토해볼 만합니다.
지금부터 관심을 갖고 지켜볼 타이밍입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