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한 에너지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풍력발전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그 중심에서 풍력타워 제작 전문기업인 동국S&C는 국내외 친환경 프로젝트에 꾸준히 참여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과 탄소중립 전략이 강화되는 2025년 이후, 에너지 전환 수혜주로써의 성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동국S&C의 기업 개요부터 기술력, 시장 내 입지, 투자 포인트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동국S&C 기업 개요
동국S&C는 동국제강 그룹 계열사로, 풍력타워 및 철구조물 제작 전문 기업입니다.
특히 풍력발전기 지지 구조물(타워) 제작을 주력으로 하며, 국내외 풍력단지에 다양한 프로젝트를 공급해왔습니다.
| 항목 | 내용 |
|---|---|
| 기업명 | 동국S&C |
| 설립연도 | 2001년 |
| 상장 | 코스닥 (100130) |
| 주요사업 | 풍력타워, 철강구조물, 발전플랜트 |
| 생산기지 | 경남 창원, 고성 등 |
풍력타워 기술력과 생산 역량
풍력타워는 풍력발전기의 회전체를 고정시키는 핵심 구조물로, 내풍성, 내식성, 고강도 강재 사용이 필수입니다.
동국S&C는 다양한 환경 조건에 맞춰 맞춤형 타워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추고 있으며, 육상 및 해상용 타워를 모두 생산할 수 있습니다.
- ✅ 8MW 이상 고출력 터빈용 타워 제작 가능
- ✅ 고강도 내식 강판 및 자동화 용접기술 보유
- ✅ 국내 최대급 풍력타워 생산라인 운영
- ✅ 해상풍력 단지 프로젝트 납품 실적 다수
특히 고성공장에서는 연간 수백 기의 타워 제작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설비 확충으로 CAPA(생산능력)를 늘리고 있습니다.
국내외 주요 수주 및 실적
동국S&C는 한국을 포함한 일본, 베트남, 대만 등 아시아 지역과
유럽 일부 해상풍력단지에도 타워를 공급하며 글로벌 공급 체인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 연도 | 프로젝트 | 지역 | 내용 |
|---|---|---|---|
| 2022 | 서남해 해상풍력 타워 공급 | 한국 | 국내 첫 상업용 해상단지 |
| 2023 | 일본 홋카이도 풍력타워 수출 | 일본 | 해외 수출 확대 |
| 2024 | 대만 포모사 해상풍력 타워 | 대만 | 아시아 해상풍력 본격 진출 |
2024년 현재 수주잔고는 4,000억 원 이상이며, 국내외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확대와 함께 추가 수주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친환경 정책 수혜와 투자 포인트
한국 정부는 2030년까지 풍력발전 비중을 전체 전력의 14.3%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국내외 기업들도 RE100, ESG 경영 강화와 함께 풍력 프로젝트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 📈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직접 수혜
- 💡 육상/해상 겸용 타워 제작 역량
- 🌏 글로벌 시장 진출 및 현지 맞춤형 생산 가능
- 🔧 고부가가치 기자재 수출 기업으로 변모 중
- 📊 ESG/RE100 테마 수혜주로 분류
최근에는 풍력타워 외에도 발전플랜트, ESS 철구조물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수익구조 안정성과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Q&A
Q1. 동국S&C는 어떤 제품을 만드나요?
주로 풍력타워를 제작하며, 철구조물, 플랜트 구조물도 함께 생산합니다.
Q2. 풍력타워 제작 기업이 왜 중요한가요?
풍력발전기의 고정 기반으로, 구조 안정성과 발전 효율성에 큰 영향을 줍니다.
Q3. 동국S&C는 해상풍력에도 참여하나요?
네, 해상용 풍력타워 납품 실적이 다수 있으며, 관련 CAPA를 지속 확대 중입니다.
Q4. 해외 진출 현황은 어떤가요?
일본, 대만, 베트남 등에 타워 수출 및 계약 진행 중입니다.
Q5. 투자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철강 가격 변동, 프로젝트 지연 리스크가 존재하므로 중장기 전략이 필요합니다.
결론: 에너지 전환 흐름 속 핵심 기자재 기업, 동국S&C
동국S&C는 단순한 철구조물 제조사를 넘어, 재생에너지 시대의 인프라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풍력발전의 핵심 부품인 타워 제작 역량을 기반으로, 국내외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친환경 대표 종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죠.
에너지 전환, ESG 테마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지금이 바로 동국S&C를 눈여겨볼 타이밍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