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MAMA 어워즈가 다가오면서 K-POP의 핵심 축을 이루는 SM엔터테인먼트(SM Entertainment)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에스파, NCT, 레드벨벳 등 국내외에서 강력한 팬덤을 확보한 아티스트를 보유한 SM은 시상식 무대 출연뿐 아니라 콘텐츠, 굿즈, 플랫폼 전방위 수익화 구조를 통해 MAMA 수혜주로서 강력한 모멘텀을 가진 종목입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고 나면, 단순한 연예기획사가 아닌 ‘콘텐츠 IP 비즈니스 기업’으로 변모한 SM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SM엔터테인먼트 개요
SM엔터는 K-POP 1세대 아이돌 문화를 선도해온 기업으로, 현재는 글로벌 팬덤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 수출, 공연 사업, 플랫폼 운영, 아티스트 IP 확장을 기반으로 한 종합 콘텐츠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 주요 아티스트: 에스파(aespa), NCT, 레드벨벳,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 주요 사업: 음반/음원, 공연, 굿즈, 플랫폼 운영, 글로벌 콘텐츠 수출
- 상장 정보: 코스닥 (041510)
2023년 카카오가 최대주주가 되며, 카카오M, 멜론, 카카오페이지 등 카카오 계열 플랫폼과의 연계도 강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MAMA 어워즈와 SM의 실질적 연계
2025년 MAMA 어워즈는 11월 28~29일, 홍콩 카이탁 스타디움에서 개최됩니다. SM 소속 아티스트는 매년 시상식의 중심에 서며, MAMA 무대를 통해 신곡 무대 최초 공개, 퍼포먼스 영상 공개를 진행해 왔습니다.
특히 에스파는 2024 MAMA에서 메타버스 기반 XR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기술 기반 콘텐츠 경쟁력을 증명했으며, NCT는 유닛별 활동을 통해 다양한 팬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아티스트의 MAMA 참여는 SM의 다음과 같은 수익과 직결됩니다:
- 음반 및 음원 매출 상승
- 굿즈 판매 급증 (응원봉, 포토카드, 의류 등)
- 해외 공연 티켓 판매 증가
- 콘텐츠 IP의 글로벌 가치 상승
SM의 수익 구조와 투자 포인트
| 수익 항목 | 비중(예상) | 관련 설명 |
|---|---|---|
| 음반/음원 | 35% | 신곡 발매, 스트리밍 수익 등 |
| 공연 | 25% | 단독 콘서트, MAMA 무대 등 |
| 굿즈/머천다이징 | 20% | 응원봉, 포토북, MD 패키지 |
| 광고/모델 | 10% | 브랜드 모델 계약, 캠페인 등 |
| 플랫폼 연계 | 10% | 카카오 플랫폼과의 콘텐츠 유통 |
위와 같은 구조 속에서 MAMA는 글로벌 콘텐츠 소비가 집중되는 시점으로, 전체 매출 구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시기입니다.
카카오와의 협업 시너지
2023년 SM의 최대주주가 된 카카오는 멜론, 카카오페이지, 카카오엔터, 카카오웹툰 등 자사 콘텐츠 플랫폼과 SM의 아티스트 IP를 융합하며 ‘플랫폼 x 콘텐츠’ 시너지 구조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 SM 콘텐츠 → 카카오페이지 독점 공개
- 음원 → 멜론 우선 배포
- 콘서트 티켓팅 → 카카오톡 선예매
이러한 통합 전략은 SM의 IP를 플랫폼 중심으로 수익화하며, MAMA 시즌에는 노출과 소비가 더욱 집중되는 시점이 됩니다.
결론: IP 제국으로 변신 중인 SM
에스엠은 더 이상 ‘기획사’라는 단어로 정의되지 않습니다. 글로벌 아티스트 IP, 자체 제작 콘텐츠, 공연 및 굿즈 유통, 플랫폼 연결까지 콘텐츠 수직 계열화를 완성한 IP 제국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5 MAMA 어워즈는 SM의 이 모든 수익 모델이 집중적으로 발현되는 타이밍입니다. 지금은 단기 테마가 아닌, IP 가치 기반 중장기 투자로 접근할 시기입니다.
Q&A
Q1. SM 아티스트는 매년 MAMA에 출연하나요?
A. 예. 에스파, NCT 등은 매년 퍼포먼스 또는 신곡 무대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Q2. SM의 수익 구조 중 굿즈 비중은 어느 정도인가요?
A. 약 20% 내외로, 팬덤이 커질수록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Q3. 카카오와 협업은 실제 수익에 도움이 되나요?
A. 티켓 판매, 콘텐츠 유통, 음원 배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시너지가 발생 중입니다.
Q4. 해외 팬 기반은 얼마나 되나요?
A. 전체 팬덤의 70% 이상이 해외 기반으로, 일본·동남아·미국 시장 중심으로 확산 중입니다.
Q5. SM의 리스크는 무엇인가요?
A. 아티스트 분쟁 리스크, 실적 변동성, 카카오와의 통합 속도 등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