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공기질 법적 기준

“아이 맡기는 어린이집, 공기질은 괜찮을까요?” 어린이집은 영유아가 하루 대부분을 머무는 공간인 만큼 실내공기질이 아이들의 건강과 직결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법적으로 어린이집의 실내공기질 기준**을 정해 매년 의무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 **공기질 항목별 기준 수치부터 측정 주기, 관리 의무**까지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어린이집 공기질, 왜 중요한가요?


아이들은 성인보다 호흡량이 많고 면역력도 약하기 때문에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하이드 같은 유해물질에 더욱 취약합니다.

어린이집은 활동이 많은 공간이면서도 환기가 제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정기적인 공기질 관리가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어린이집 실내공기질 법적 기준표


항목 법정 기준치 관리 기준
미세먼지(PM10) 100 ㎍/㎥ 이하 적정: 75 ㎍/㎥ 이하
초미세먼지(PM2.5) 35 ㎍/㎥ 이하 적정: 25 ㎍/㎥ 이하
이산화탄소(CO₂) 1,000 ppm 이하 적정: 800 ppm 이하
포름알데하이드(HCHO) 100 ㎍/㎥ 이하 적정: 60 ㎍/㎥ 이하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s) 400 ㎍/㎥ 이하 적정: 200 ㎍/㎥ 이하

※ 출처: 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규칙 제9조 (2025년 기준)



관리 대상 및 측정 주기


대상 시설 측정 주기 측정 방법
어린이집, 유치원 연 1회 이상 지자체 또는 지정 측정업체
노인요양시설, 산후조리원 연 1~2회 전문 장비 사용 후 결과 보고


Q&A


Q1. 어린이집에서 공기질을 반드시 측정해야 하나요?

A1. 네,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따라 연 1회 이상 공기질 측정이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Q2. 측정 결과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어떻게 되나요?

A2. 시정 권고 및 개선 조치가 내려지며, 일정 기간 내 재측정 후 보고해야 합니다.


Q3. 학부모도 공기질 측정 결과를 볼 수 있나요?

A3. 네, 대부분 어린이집에서는 결과 요약을 게시판이나 알림장으로 안내합니다.


Q4. 공기청정기를 설치하면 측정을 안 해도 되나요?

A4. 아닙니다. 공기청정기 설치 여부와 무관하게 법적 측정은 반드시 진행해야 합니다.



결론: 아이를 맡기는 공간이라면 공기질도 꼭 체크하세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아이 건강에 직접 영향을 주는 실내공기질. 정기적인 측정과 기준치 이하의 관리가 안전한 보육환경의 기본입니다.

부모님이라면 어린이집에 공기질 측정 여부를 꼭 문의해보시고, 운영자라면 매년 잊지 말고 측정하세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