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살 땐 보조금만 챙기면 끝일까요? 아닙니다. 2025년 기준, 세액공제까지 받으면 수백만 원 추가 절세 효과! 구매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전기차 세금 혜택’을 지금 확인하세요.
2025년 전기차 세액공제 총정리
정부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해 세금 부담도 낮춰주고 있습니다. 전기차 구매 시 받을 수 있는 세제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취득세 감면
전기차는 취득세가 최대 140만 원까지 감면됩니다. 원래 차량 가격의 약 7%에 해당하는 취득세가 대폭 줄어드는 셈이죠. 2025년까지 해당 혜택이 연장되며, 일부 지자체에서는 추가 감면도 적용됩니다.
② 공채 매입 면제 (지자체별 적용)
자동차 등록 시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하는 지방채(지역개발채권)를 전기차 구매자는 면제받거나 대폭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경기, 부산 등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전기차 구매자에게 공채를 면제하거나 50% 이상 할인해주고 있습니다.
③ 개별소비세 감면
내연기관차에는 적용되던 개별소비세가 전기차에는 감면되며, 최대 100만 원까지 절세가 가능합니다. 다만, 해당 혜택은 차종 및 연간 예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④ 자동차세 감면
전기차는 일반 자동차 대비 자동차세가 연 13만 원 수준으로 매우 저렴합니다. 1,600cc급 차량의 연간 자동차세가 28~30만 원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큰 혜택입니다.
전기차 세액공제 요약표
세제 혜택 | 감면 내용 | 적용 조건 |
---|---|---|
취득세 | 최대 140만 원 감면 | 2025년까지 연장 |
공채 매입 | 면제 또는 50% 할인 | 지자체별 상이 |
개별소비세 | 최대 100만 원 감면 | 차량가 및 정부 예산 기준 |
자동차세 | 연 13만 원 고정 | 전기차 등록 시 적용 |
Q&A
Q1. 세액공제는 자동으로 적용되나요?
취득세, 자동차세 감면은 차량 등록 시 자동 적용되며, 공채 할인은 해당 지자체 창구에서 확인이 필요합니다.
Q2. 중고 전기차도 세액공제가 되나요?
대부분의 감면 혜택은 신차 기준이며, 중고차는 지자체 정책에 따라 일부 항목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Q3. 취득세 감면은 모든 차량에 적용되나요?
전기차로 등록되는 차량 중 환경부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고가 차량은 제외될 수 있습니다.
Q4. 감면 혜택은 언제까지 유지되나요?
현재 기준으로 2025년까지 감면 연장되어 있으며, 이후 연장 여부는 추후 공지 예정입니다.
Q5. 감면받은 차량을 조기 매각하면 불이익이 있나요?
보조금과는 달리 세제 감면은 매각과 직접 연관되지 않지만, 일부 보조금 항목과 연계될 수 있어 확인이 필요합니다.
세액공제까지 챙겨야 진짜 전기차 구매
전기차는 구매 가격만이 아니라 ‘유지 비용 절감’ 측면에서 진짜 가치가 있습니다. 세금 부담이 적고, 연간 유지비가 낮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훨씬 유리합니다.
구매 전 반드시 세제 혜택까지 꼼꼼히 확인하고, 가능한 모든 감면 항목을 적용받아 최적의 조건으로 전기차를 장만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