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공모주 일정 페스카로 공모주 핵심정리

2025년 12월, 커넥티드카 보안 기술을 보유한 페스카로가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공모주 청약을 진행합니다. 미래차 시대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차량용 보안 솔루션을 개발하는 국내 대표 기업으로, 최근 급증하는 자동차 해킹 이슈에 대응 가능한 고성장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페스카로의 공모 청약일정, 기업정보, 투자 포인트, 수요예측 전망 등을 총정리하여 제공드립니다. 공모주 청약을 고민 중이라면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페스카로 기업 개요


페스카로(PESCARO)는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ECU)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보안 솔루션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기술 기업입니다.

현대차, 기아, 르노코리아, 쌍용자동차 등 주요 완성차 업체를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로 자동차 전용 보안 OS와 보안 통신 모듈을 상용화한 회사입니다.

  • 🔐 차량용 보안 솔루션 100% 자체 개발
  • 🚘 완성차/부품사와 협력 계약 체결
  • 📊 글로벌 커넥티드카 시장 확장에 따른 수요 증가


공모 개요 및 청약 일정


항목 내용
공모청약일 2025년 12월 1일 ~ 12월 2일
희망공모가 12,500원 ~ 15,500원
상장 시장 코스닥
주간사 NH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상장 예정일 2025년 12월 중

상장 이후 자금은 연구개발, 국내외 기술 인증, 글로벌 수출 확대에 적극 활용될 예정으로, 성장 기반 마련에 적합한 공모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업 분야 및 기술력


페스카로는 커넥티드카, 전기차, 자율주행차에서 요구되는 차량 내 통신 보안 (In-Vehicle Network Security)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합니다.

  • 🧠 보안 운영체제 (Secure OS) : ECU용 OS로 독립적인 보안 환경 제공
  • 🔗 보안 통신 모듈 : 차량 간 통신을 암호화 및 인증 처리
  • 📡 OTA 보안 솔루션 : 무선 업데이트 시 해킹 차단

이 외에도 자동차 국제 보안 기준인 UN-R155, ISO/SAE 21434를 충족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재무 정보 요약


항목 내용
2022년 매출 약 70억 원
2023년 매출 약 110억 원 (추정)
2024년 전망 150억 원 이상
흑자 여부 영업적자 지속, 수익 구조 개선 중

아직은 흑자 전환 전 단계이지만, 장기 프로젝트 기반의 매출 확대가 이뤄지고 있으며 기술료 수익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투자 포인트 요약


  • 🚗 차량용 사이버 보안 시장 고성장 → 글로벌 수요 폭발
  • 🔐 차량 전용 보안 OS 및 솔루션 → 독자 기술 확보
  • 🌐 UN 규제 대응 가능한 기술 → 글로벌 인증 기반
  • 📈 IPO 자금 활용 → 제품화, 마케팅, 해외 확장 기대
  • 💰 중소형 공모 → 초기 상장 수급에 유리할 수 있음

특히 커넥티드카 보안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 성장 중이며, 페스카로는 국내 유일의 전방위 차량 보안 솔루션 기업으로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Q&A


Q1. 페스카로는 어떤 기업인가요?

커넥티드카 및 자율주행차에 들어가는 차량용 보안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술기업입니다.


Q2. 청약은 어디서 가능한가요?

NH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에서 청약 가능합니다. 증권사 계좌를 미리 개설해두세요.


Q3. 공모가 상단 기준 청약 시 증거금은?

15,500원 × 10주 = 155,000원, 증거금 50% 기준 약 77,500원이 필요합니다.


Q4. 해외 매출 비중은 어느 정도인가요?

현재는 국내 비중이 높지만, 유럽 OEM 기업과의 협업 계약이 진행 중입니다.


Q5. 흑자가 아닌데 상장 후 안정성은?

수익 모델이 확대되고 있고, 기술료 기반 매출이 꾸준히 발생 중이라 중장기적으로 흑자 전환이 가능하다는 전망입니다.



결론 및 청약 전략


페스카로는 미래차 시대에 필수인 차량용 사이버 보안 기술을 갖춘 핵심 기업입니다. 기술력은 입증되었고, 국내외 완성차 업체와 협업 중이기 때문에 산업 흐름에 따라 중장기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공모가는 소형급에 해당하며, 기술특례 상장이 아닌 실적 기반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장 후 수급도 우호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청약 전략은 균등/비례 혼합으로 접근하며, 수요예측 결과와 공모가 확정 이후 최종 전략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