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관련주가 다시 시장의 중심에 서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안정적이고 실적 기반이 탄탄한 종목을 찾는다면, 바로 한전KPS가 그 중심에 있습니다.
한전KPS는 국내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의 유지보수 독점 기업으로 변동성이 적고, 꾸준한 실적이 강점인 대표적인 ‘실적형 원전주’입니다.
이 글에서는 한전KPS의 사업 구조, 주가 흐름, 2025년 투자 포인트, 그리고 원전 산업 내에서의 입지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한전KPS는 어떤 기업인가?
한전KPS(한국전력기술서비스)는 국내 유일의 발전설비 유지보수 전문회사입니다. 1974년 한국전력공사 자회사로 설립되어, 현재까지 모든 원자력 발전소, 화력 발전소의 정비, 점검, 교체, 업그레이드 업무를 전담해왔습니다.
특히 원전 설비 유지보수는 한전KPS가 독점 수행 중이며, 이는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2025년 현재 한전KPS 주가 현황
📈 2025년 11월 1일 기준 주가: 36,700원
💹 시가총액: 약 3조 4천억 원
📊 PER: 15.2배 / PBR: 1.4배
🏦 주요 주주: 한국전력공사 (81.3%)
한전KPS는 원전 관련 테마에 휘둘리기보다는 정기적 수주 + 안정적 매출 흐름에 따라 주가가 꾸준히 움직이는 종목입니다.
중장기 투자자, 기관 투자자의 선호도가 높은 종목이며
배당성장주 성격
한전KPS의 사업 구조 및 매출 구성
| 사업 부문 | 비중 | 설명 |
|---|---|---|
| 원자력 정비 | 41% | 국내 전 원전 설비 점검 및 정비 |
| 화력발전 정비 | 29% | 석탄, 복합화력발전소 설비 정비 |
| 신재생에너지 | 13% | ESS, 태양광 유지보수 |
| 수출 및 기타 | 17% | 베트남, UAE 등 해외 원전 정비 |
이처럼 한전KPS는 국내 정비 뿐 아니라 중동, 동남아시아로 원전 O&M 수출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전KPS의 핵심 투자 포인트
- ① 원전 유지보수 독점 – 국내 모든 원전의 정비를 한전KPS가 수행
- ② 실적 기반 주가 흐름 – 정책 테마보다 실적 흐름에 영향
- ③ 해외 수주 확대 – UAE, 체코, 사우디 정비 계약 논의 중
- ④ 안정적 배당주 – 2025 예상 배당수익률 3.2%
- ⑤ 신재생 전환 수혜 – ESS, 태양광 유지보수 확대
최근 실적 흐름 및 재무 상태
| 연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영업이익률 |
|---|---|---|---|---|
| 2023 | 1조 4,500억 | 1,420억 | 1,080억 | 9.8% |
| 2024 | 1조 6,000억 | 1,620억 | 1,250억 | 10.1% |
| 2025E | 1조 7,500억 (예상) | 1,850억 (예상) | 1,410억 (예상) | 10.6% |
매출과 이익 모두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영업이익률도 두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어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보유한 안정적인 종목입니다.
Q&A
Q1. 한전KPS는 한국전력과 무슨 관계인가요?
A. 한국전력공사가 81.3%의 지분을 가진 자회사입니다.
Q2. 원전 테마주로 분류되나요?
A. 네, 원전 유지보수 독점기업으로 정책 수혜를 받을 수 있어 테마주로 분류되지만, 실적 중심입니다.
Q3. 배당은 얼마나 하나요?
A. 2024년 기준 1주당 1,200원, 2025년 예상 배당수익률 약 3.2%입니다.
Q4. 해외 진출도 하나요?
A. 네. UAE 바라카 원전 정비를 포함해 동남아, 체코, 사우디 등과 협력 확대 중입니다.
Q5. 지금 투자하기에 좋은가요?
A. 장기 안정형 원전주를 찾는다면 매력적이며, 분할 매수 전략이 적합합니다.
결론: 원전 실적주, 그 이름은 한전KPS
단기 테마보다 실적과 배당 중심의 중장기 투자를 원한다면 한전KPS는 원전 관련주 중 가장 안정적인 선택지입니다.
국내외 원전 유지보수 시장 확대, 꾸준한 실적, 그리고 공기업 특유의 배당 안정성까지 갖춘 이 종목은 에너지 산업이 확장될수록 더 큰 주가 성장 잠재력을 보여줄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