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원전 산업이 다시 떠오르며 ‘원전 설계 독점’ 기업으로 불리는 한전기술이 주식시장에서 강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신한울 3·4호기 사업 재개, SMR(소형모듈원자로) 기술 개발, 수출 확대 등 여러 요인이 맞물리면서 한전기술은 원전 관련주 중에서도 프리미엄 종목으로 부상 중입니다.
이 글에서는 한전기술의 기업 구조, 주가 동향, 성장 모멘텀, 투자 전략까지 모두 정리해드릴 테니 끝까지 집중해 주세요👇
한전기술은 어떤 기업인가?
한전기술(한국전력기술)은 국내 유일의 원자력·발전설비 설계 전문 기업입니다. 1975년 설립되어 한국형 원전 APR1400, 스마트 원전 등 국내외 원전 설계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SMR 및 수소플랜트, 신재생 에너지 기술 개발에도 적극 참여 중입니다.
설계 및 엔지니어링 역량이 뛰어나 **국내 원자력 발전 설계는 모두 한전기술이 전담**하고 있습니다.
2025년 한전기술 주가 정보
📈 2025년 11월 기준 주가: 66,000원
💹 시가총액: 약 2조 5천억 원
📊 PER: 17.3배 / EPS: 3,800원
💼 주요 주주: 한국전력공사(66.7%), 국민연금, 외국인 투자자
2025년 상반기에는 신한울 3·4호기 재개 및 정부의 원전 육성 정책 발표로 인해 단기 상승 흐름을 탔고, 하반기 들어서는 실적 발표 이후 안정적인 박스권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전기술의 주요 사업 구조
| 사업 분야 | 비중 | 설명 |
|---|---|---|
| 원자력 설계 | 53% | 국내외 원전 설계 및 기술 지원 |
| 발전(화력) 설계 | 24% | 석탄·복합화력 발전 설계 |
| 신재생·수소 플랜트 | 15% | 태양광, 풍력, 수소 인프라 설계 |
| 기타 엔지니어링 | 8% | 토목, 구조, 설비 설계 등 |
한전기술 투자 포인트 요약
- ① 원전 설계 독점 – 국내 모든 원전 설계를 한전기술이 맡고 있음
- ② 신한울 3·4호기 수혜 – 재개 확정에 따라 수주 증가 예상
- ③ SMR 수혜주 – 차세대 소형모듈원자로 기술 개발 참여
- ④ 안정적 수익구조 – 공공기관 납품 위주, 변동성 낮음
- ⑤ 수출 확대 기대 – 체코, 사우디 원전 수출 설계 참여
이 다섯 가지 포인트는 2025년에도 한전기술의 주가를 지지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최근 수주 및 실적 흐름
2025년 한전기술은 신한울 프로젝트 외에도 다수의 발전소 및 수소 관련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안정적인 실적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연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영업이익률 |
|---|---|---|---|
| 2023 | 8,240억 | 1,200억 | 14.5% |
| 2024 | 9,600억 | 1,350억 | 14.0% |
| 2025E | 1조 500억 (예상) | 1,550억 (예상) | 14.8% |
Q&A
Q1. 한전기술은 민간기업인가요?
A. 아니요.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가 최대주주인 공공기관 성격의 기업입니다.
Q2. 원전 설계는 왜 중요하죠?
A. 원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좌우하는 것이 설계이며, 이 과정에서 기술력이 핵심입니다.
Q3. 향후 SMR 상용화 시 수혜가 있나요?
A. SMR의 설계, 구조 해석 등 대부분의 설계 기술에 참여 중으로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됩니다.
Q4. 배당금은 지급하나요?
A. 네. 최근 3년간 꾸준히 배당을 지급해 왔으며, 2025년에도 1주당 1,000원 전후의 배당이 예상됩니다.
Q5. 리스크는 없나요?
A. 원전 수출 불확실성, 국제 원전 여론, 정치 변화 등이 잠재적 리스크입니다.
결론: 2025년, 원전 핵심은 ‘한전기술’
원전 관련주를 찾고 있다면, 기술력 + 공신력 + 실적 안정성을 모두 갖춘 한전기술을 우선적으로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변동성은 낮지만, 정책 변화와 수주 소식에 따라 큰 폭의 상승 여력도 갖춘 종목입니다. 장기적인 에너지 트렌드를 고려할 때, 한전기술은 저점 매수 후 보유 가치가 높은 우량주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