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창업자를 위한 종합소득세·부가세 기초 가이드

신입 창업자라면 종합소득세와 부가가치세의 기본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세금 신고 주기와 절차를 몰라서 가산세를 내는 경우가 많으니, 처음부터 기초를 잡아두세요.

 

 

 

 

📌 종합소득세란?


개인사업자가 1년간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합산해 내는 세금입니다. 사업소득뿐 아니라 근로소득, 기타소득, 이자·배당소득까지 포함됩니다.


  • 신고 기간 –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 신고 방법 – 홈택스/손택스, 세무서 방문
  • 필요 자료 – 매출·매입 자료, 경비 증빙, 공제 서류


📌 부가가치세란?


재화나 용역 거래 시 발생하는 부가가치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매출에서 받은 부가세에서 매입 시 낸 부가세를 빼고 납부합니다.


  • 신고 기간
    • 1기 확정: 7월 1일 ~ 7월 25일 (1~6월분)
    • 2기 확정: 1월 1일 ~ 1월 25일 (7~12월분)
  • 신고 대상 – 일반과세자, 일부 간이과세자
  • 신고 방법 – 홈택스, 세무대리인


📊 종합소득세 vs 부가가치세 비교


구분 종합소득세 부가가치세
성격 1년 소득에 대한 세금 거래 부가가치에 대한 세금
신고 시기 매년 5월 연 2회 (1월, 7월)
대상 모든 개인사업자·프리랜서 일반과세자, 일부 간이과세자
납부 방법 홈택스/손택스·세무서 방문 홈택스·세무대리인
공제 인적·보험·연금·기부금 등 사업 관련 매입세액


💡 창업자 세금 관리 팁


  • 매출·매입 증빙 습관화 – 세금계산서, 카드매출, 현금영수증 철저 보관
  • 사업용 계좌 사용 – 개인 지출과 사업 지출 분리
  • 간이과세자 여부 확인 – 연매출 8천만원 미만 시 부가세 부담 완화
  • 세무 달력 체크 – 신고 기한을 놓치면 가산세 부담
  • 세무 전문가 상담 – 초기 구조 설계 시 절세 효과 극대화


⚠️ 주의사항


  • 무신고·지연 신고 시 가산세(최대 20%) 부과
  • 허위 증빙 제출 시 추징금·세무조사 위험
  • 간이과세자는 매입세액 공제가 일부 제한됨


결론


신입 창업자에게 종합소득세와 부가가치세 이해는 필수입니다. 세금 구조를 빨리 익히고, 기한 내 신고 습관을 들이면 가산세를 피하고 절세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Q&A


Q1. 창업 첫 해에도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하나요?
네, 매출이 있으면 금액과 상관없이 신고해야 합니다.


Q2. 부가세는 매출이 없으면 신고 안 해도 되나요?
아니요, ‘무실적 신고’를 해야 합니다.


Q3. 종합소득세와 부가세를 한 번에 신고할 수 있나요?
아니요, 각각 별도의 기간과 절차로 신고해야 합니다.

다음 이전